프로젝트 git url | github.com/rtef23/JpaStudy |
필요 | 1. docker 2. docker-compose |
프로젝트 정보 | mysql : 5.7 - docker image java : 1.8 |
1. gradle을 사용하여 의존 라이브러리 설정
org.hibernate.hibernate-entitymanager
; JPA의 구현체인 Hibernate 의존성 추가
mysql.mysql-connector-java
; Java - mysql api 의존성 추가
2. 프로젝트에 persistence.xml 파일 설정
- META-INF/persistence.xml 파일 생성
javax.persistence.*
; JPA 표준 속성
hibernate.*
; Hibernate 전용속성
persistence-unit
; dataSource 별로 생성
hibernate.dialect
;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쿼리로 변환하는 방법을 저장한 Dialect 설정
* hibernate.dialect.dialect.MySQL5Dialect의 경우,
기본 engine이 MyISAM으로 설정이 되어있다.
MySQL55Dialect의 경우, innoDB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
DB 엔진 설정도 확인해본 후 Dialect 설정하는 것이 필요
3. JPA 설정 확인
persistenceUnitName은 persistence.xml에서 설정한 persistence-unit의 name 속성과 동일하게 설정한다.
실행시 아래와 같이 Database와 접속되었다는 로그가 나오게 된다.
'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PA] 6. 엔티티 매핑 (0) | 2021.01.05 |
---|---|
[JPA] 5. 영속성 컨텍스트 - 2 (0) | 2020.12.31 |
[JPA] 4. 영속성 컨텍스트 - 1 (0) | 2020.12.31 |
[JPA] 3. JPA 기본 api 사용 (0) | 2020.12.30 |
[JPA] 1. JPA 소개 (0) | 2020.12.29 |